* Computer Science/Algorithm 83

Unit 2. 상태 공간 트리

상태 공간 트리(state space tree) 1. 해를 찾기 위해 탐색할 필요가 있는 모든 후보들을 포함하는 트리2. 트리의 모든 노드들을 방문하면 해를 찾을 수 있다.3. 루트에서 출발하여 체계적으로 모든 노드를 방문하는 절차를 기술한다. 평소 했던데로 생각하면 해결책이 떠오르지 않는데, 이런 도구들을 사용하니 좀 더 편하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recursion is fantastic method !) ref : algorithm

Unit 2. n-queens

대각, 직각에 겹치는 노드가 없게 만드는 예제입니다. 컨셉을 이해는 했으나 만드는 과정이 2시간이나 걸렸다는... Tkinter로 깔끔하게 이미지로 표현할 수도 있지만, 귀찮으므로 패스...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def non_promising(level): if level == 0: return True else: for col in range(0, level): if level - col == abs(cols[level] - cols[col]): return False if cols[level] == cols[col]: return False return True def queens(level): if level == len..

Unit 2. find maze path and count cells blob

강의를 듣고 간단히 만들어봤습니다. 미로찾기를 구현할 수 있다면 countCellsblob은 자연스레 구현할 수 있습니다. 제 생각대로 만들어서 강의의 코드와 다를 수 있습니다.(강의에선 java를 사용합니다.) MIT OpenCourseWare에서 강의들을 때 미로찾기 나왔었는데 반갑네요 ^^ 쉽고 재밌게 코딩할 수 있는듯 ~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 PATHWAY_COLOUR = 0# WALL_COLOUR = 1# BLOCKED_COLOUR = 2# PATH_COLOUR = 3def findPath(x, y): if x is 8 and y is 9: # ou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