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티브는 4가지 속성으로 이루어진다.
응답성(responsive), 유연성(resilent), 신축성(elastic), 그리고 메시지 주도(message driven)
응답성은 신속하게 응답한다는 뜻이다. 유연성은 장애 허용으로 부분적인 에러나 예외는 이상현상이 아니라 평범한 동작의 일부로 여긴다.
신축성은 트래픽이 늘어나면 서버의 수가 자동으로 늘어나고 트래픽이 줄어들면 서버의 수가 자동으로 줄어드는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확장성을 의미한다.
메시지 주도는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조각과 조각이 의사소통하는 방식이 메시지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의미이다. 이들은 보내고 잊는(fire-and-forget) 방식으로 주고받으며 소통한다.
리액티브 개발 패러다임에 담긴 메시지 - 임백준 칼럼니스트 님 中
url : http://www.zdnet.co.kr/column/column_view.asp?artice_id=20161010104628
메시지 주도는 보내고 잊는 방식이 구체적으로 뭘 뜻하는지 선뜻 와닿지 않는다. 에릭 마이어의 RxJava를 들어봤었는데 리액티브에 관한 라이브러라인줄은 몰랐다. 사실 리액티브가 뭔지도 몰랐다. 추후 기억해뒀다가 사용해봐야겠다. Reactive Extension
'* News > 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derstanding Pointers & arrays #3 (0) | 2018.11.01 |
---|---|
software engineering 'include' vs 'extend' in use case diagram (0) | 2018.10.29 |
프로그래밍 중 프로그래머가 준수하면 좋을 습관들. (0) | 2016.10.05 |